전체 글 76

제46회 SQL 개발자(SQLD) 자격 시험 사전 점수 확인

금일 16시부터 다음주 화요일(9월 27일) 18시까지 2022년 9월 4일에 실시한 SQLD 자격 시험의 사전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로그인 → 마이페이지 → 시험결과 시험결과 확인 버튼을 누르면 1과목, 2과목의 점수 및 합격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. 9월 27일 오후 6시까지 공개 후 비공개로 전환되니 잊지 말고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 사전 점수 확인 기간을 놓쳐도 9월 30일 오전 10:00에 확인 가능합니다. :) (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.)

[Javascript 기본] 간단한 시계 구현 코드

현재 시간을 다음과 같이 시:분:초로 나타내는 시계를 구현한다. index.html 코드 clock.js 코드 const clock = document.querySelector("h2#clock"); function getClock() { const date = new Date(); const hours = String(date.getHours()).padStart(2, "0"); const minutes = String(date.getMinutes()).padStart(2, "0"); const seconds = String(date.getSeconds()).padStart(2, "0"); clock.inerText = `${hours}:${minutes}:${seconds}`; } getClock()..

[Javascript 기본] 간단한 시계 구현(Date 객체, getHours(), getMinutes(), getSeconds(), padStart(), setInterval())

Date 객체 const date = new Date(); → 매 순간 변화하는 시간과 날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. new 연산자를 사용한다. 매개변수가 없을 시 생성 순간의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Date 객체를 생성한다. Date 메서드 모든 Date 인스턴스는 Date.prototype으로부터 메서드와 프로퍼티를 상속받는다. getHours() -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숫자(0 ~ 23) 반환. getMinutes() - 현재 시각의 분에 해당하는 숫자(0 ~ 59) 반환. getSeconds() - 현재 시각의 초에 대당하는 숫자(0 ~ 59) 반환. 그 외 메서드 ↓ 더보기 getDate() - 현재 일자에 해당하는 숫자(1 ~ 31) 반환. getDay() - 현재 요일에 해당하는 숫자(0 ..

프로그래밍 패러다임(함수형 프로그래밍, 객체지향 프로그래밍, 절차지향 프로그래밍)

함수형 프로그래밍 순수함수들을 블록처럼 쌓아 로직을 구현하며, 고차함수를 통해 재사용성을 높인다. - 순수함수 : 출력이 입력(들어오는 매개변수)에만 의존하는 함수. → 외부의 값(전역변수 등)을 참조하지 않는다. - 고차함수 : 함수가 함수를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생성. → 고차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가 일급 객체여야 한다. 더보기 일급 객체 특징 - 변수나 메서드에 함수를 할당할 수 있다. - 함수 안에 함수를 매개변수로 담을 수 있다. - 함수가 함수를 반환할 수 있다. 객체지향 프로그래밍(OOP, Object-Oriented Programming) 모든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하며, 객체 내부에 선언된 메서드를 활용한다. → 장점) 다른 사람이 만든 클래스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9.17

싱글톤 패턴

싱글톤 패턴(Singleton Pattern) 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. 데이터베이스 연결 모듈에 많이 사용. ex) MongoDB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할 때 쓰는 mongoose 모듈 → mongoose의 connect() 함수는 싱글톤 인스턴스를 반환한다. MySQL 데이터베이스 연결 - 장점: 인스턴스 생성 비용 줄어듦. → 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고 다른 모듈들이 해당 인스턴스를 공유하며 사용한다. - 단점: 의존성이 높아짐. ex) 테스트가 서로 독립적이어야 하는 단위 테스트에 걸림돌이 됨. 모듈간의 결합을 강하게 만듦. → 의존성 주입으로 해결 가능. 더보기 의존성 주입(DI, Dependency Injection) = 디커플링(모듈 간 결합도를 낮춤) 하나의 객체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9.17
728x90
반응형